제16군단 (미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6군단 (미국)은 1933년 예비대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 냉전 시기에 걸쳐 활동한 미국의 군단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미국 제9군의 일원으로 참전했으며, 한국 전쟁 발발 후에는 예비대로 재소집되어 한반도 방어에 기여했다. 냉전 시기에는 미국 중서부 지역의 예비군 부대를 감독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7군단 (미국)
제7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부터 걸프 전쟁까지 참전한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노르망디 상륙 작전, 서독 방어, 이라크군 격파 등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나 냉전 종식 후 해체되었다. -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군단 - 제18공수군단
제18공수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냉전, 걸프 전쟁 등 다양한 작전에 참여했으며, 현재는 노스캐롤라이나주 포트 리버티에 본부를 두고 여러 사단을 예하 부대로 둔다. - 1968년 폐지 - 대한민국 공보부
대한민국 공보부는 1961년부터 1968년까지 정부 정책 홍보, 언론 통제, 문화 검열, 해외 홍보, 방송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국정 홍보에 기여한 정부 부처였다. - 1968년 폐지 - 제10군단 (미국)
제10군단은 미국 육군의 군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과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태평양 전선과 인천 상륙 작전 등 주요 전투에 참여했으며, 냉전 시대에는 미국 본토 북서부 지역의 육군 예비군 부대 훈련을 담당하다 1968년 해체되었다. - 1954년 폐지 - 조선인민유격대
조선인민유격대는 한국 전쟁 전후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공산주의 계열 유격 부대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원을 받아 지리산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나 토벌 작전과 민심 이반으로 소멸되었다. - 1954년 폐지 -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
올아메리칸 걸스 프로페셔널 베이스볼 리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립 K. 리글리가 창설한 미국 최초의 여자 프로 야구 리그로, 소프트볼과 야구의 혼합 형태, 독특한 유니폼, 여성스러움 강조 홍보로 알려졌으며, 1940년대 중반 전성기를 누렸으나 전쟁 후 재정난으로 1954년 해체되었고 영화 《그들만의 리그》를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제16군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 | |
군종 | 미국 육군 |
종류 | 군단 |
별명 | 알려진 별명 없음 |
역사 | |
창설일 | 1921년 7월 29일 |
해체일 | 1933년 10월 1일 1945년 12월 7일 1954년 11월 20일 1968년 4월 30일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존 B. 앤더슨 (1943–1945) 새뮤얼 탱커슬리 윌리엄스 (1953–1954) |
2. 역사
제16군단은 1943년 12월 7일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현역으로 소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유럽 전구에서 미국 제9군의 일원으로 참전했으며,[3] 찰스 H. 게르하르트 소장이 지휘하는 제29보병사단, 레이 E. 포터 소장이 지휘하는 제75보병사단, 이라 T. 와이치 소장이 지휘하는 제79보병사단, 해리 L. 트와들 소장이 지휘하는 제95보병사단으로 구성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1945년 12월 7일 뉴저지주 캠프 킬머에서 해산되었다.[3]
1950년 한국 전쟁에서 유엔군이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남쪽으로 후퇴해야 하는 위기 상황에 대응하여, 극동사령부는 1951년 4월 1일에 제16(XXVI)군단을 예비대로 지정하고 5월 10일에 소집하였다. 군단 본부는 일본 센다이시 캠프 쉼멜페니그에 설치되었으며, 제1기병사단, 제24보병사단, 제40보병사단이 배속되었다.[3] 제16군단은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1954년 11월 20일 해산될 때까지 예비대로서 한반도 방어에 기여하였다.
1957년 11월 22일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세 번째로 소집되었고, 1968년 4월 30일에 해산되었다.[1]
2. 1.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20년 국방법에 의해 제16군단이 인가되었으며, 주로 제6 군관구에 위치한 조직 예비군 부대로 구성될 예정이었다. 본부 및 본부 중대는 1921년 7월 29일에 정규군으로 편성되어 제6군관구에 할당되었고, 제5군에 배속되었다. 본부는 1922년 10월 미시간주 디트로이트에서 조직 예비군 인원으로 창설되었다. 본부 중대는 1922년 10월 18일 미시간주 새기노에서 조직 예비군 인원으로 창설되었으며, 1926년 10월 1일 디트로이트로 이전했다. 본부는 1933년 10월 1일에 정규군에서 철수하고 해산되었다.[1]2. 2.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12월 7일 캔자스주 포트 라일리에서 현역으로 소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제16군단은 유럽 전구에서 미국 제9군의 일원으로 참전했다.[3] 이 군단은 찰스 H. 게르하르트 소장이 지휘하는 제29보병사단, 레이 E. 포터 소장이 지휘하는 제75보병사단, 이라 T. 와이치 소장이 지휘하는 제79보병사단, 해리 L. 트와들 소장이 지휘하는 제95보병사단으로 구성되었다.전쟁이 끝난 후, 이 군단은 1945년 12월 7일 뉴저지주 캠프 킬머에서 해산되었다.[3]
2. 3. 한국 전쟁
1950년 한국 전쟁에서 유엔군은 중국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전세가 불리해져 남쪽으로 후퇴해야 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 대응하여 극동사령부는 1951년 4월 1일에 제16(XXVI)군단을 예비대로 지정하고 5월 10일에 소집하였다. 군단 본부는 일본 센다이시 캠프 쉼멜페니그에 설치되었으며, 제1기병사단, 제24보병사단, 제40보병사단이 배속되었다.[3]제16군단은 직접 전투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1954년 11월 20일 해산될 때까지 예비대로서 한반도 방어에 기여하였다. 군단 본부가 일본 센다이에 위치했다는 사실은 미국의 대한반도 방어 의지를 보여주는 간접적인 증거로 해석될 수 있다.
2. 4. 냉전
1957년 11월 22일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세 번째로 소집되었고, 1968년 4월 30일에 해산되었다.[1]3. 조직
제16군단은 직할 제50통신대대와 아래의 배속 부대로 편성되었다.
부대 | 기간 |
---|---|
제1기병사단 | 1951년 10월 ~ 1954년 11월 |
제24보병사단 | 1951년 5월 ~ 1953년 7월 |
제40보병사단 | 1951년 5월 ~ 1952년 2월 |
제45보병사단 | 1951년 5월 ~ 1951년 10월 |
제187연대전투단 | 1952년 10월 ~ 1953년 6월 |
3. 1. 예속
3. 2. 편성
- 직할
- * 제50통신대대
- 배속
부대 | 기간 |
---|---|
제1기병사단 | 1951년 10월 ~ 1954년 11월 |
제24보병사단 | 1951년 5월 ~ 1953년 7월 |
제40보병사단 | 1951년 5월 ~ 1952년 2월 |
제45보병사단 | 1951년 5월 ~ 1951년 10월 |
제187연대전투단 | 1952년 10월 ~ 1953년 6월 |
4. 참전 기록
- 라인란트
- 중부 유럽
5. 지휘관
지휘관 | 임기 |
---|---|
존 B. 앤더슨 소장 | 1943년 12월 – 1945년 10월 |
토머스 D. 핀리 소장 | 1945년 10월 – 1945년 12월 |
로데릭 R. 앨런 소장 | 1951년 8월 – 1952년 |
클로비스 E. 바이어스 소장 | 1952년 |
블랙셔 M. 브라이언 소장 | 1952년 – 1953년 8월 |
새뮤얼 T. 윌리엄스 소장 | 1953년 8월 – 1954년 11월 |
포병 사령관 | |
찰스 C. 브라운 준장 | 1943년 12월 – 1945년 12월 |
참조
[1]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1919-41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10
[2]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1. The Arms: Major Commands and Infantry Organizations, 1919-41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10
[3]
간행물
Stars and Strip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